교육과정
의학전공 및 중개의학전공
학수구분 | 교과목명 |
---|---|
전공필수 | 각 세부 전공별 실습 / 특강, 의학과 전공 세미나 |
공통핵심 (전공선택) |
임상중개연구특강1-I·II, 임상중개연구특강2-I·II, 의과학실험 기본기법1-I·II, 의과학실험 기본기법2-I·II, 의학통계학, 의학연구방법론 I·II , 의학 데이터 처리 및 분석 프로그래밍 I·II |
전공선택 | 공통세미나, 임상약리학, 근골격계외상학, 의학유전학입문, 유전상담학 및 상담심리학, 유전상담세미나, 임상신경과학, 암진단과 치료의 분자적 이해, 소화기질환의 병인학, 형태학연구방법론, 호르몬의 작용기전, 새롭게 출현한 신변종바이러스, 여행관련질환의 최신지견, 악구강계학, 치의학개론,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, 의료정보학개론, 의생명데이터 패턴분석과 데이터마이닝, 관상동맥영상 및 생리, 장기이식학, 소생의학, 외상학, 임상유전학 |
사회보건학전공
학수구분 | 교과목명 |
---|---|
전공필수 | 각 세부 전공별 실습 / 특강, 의학과 전공 세미나 |
전공선택 | 공통세미나, 일과 스트레스, 국제보건의료, 역학이론 및 실제, 환경과 건강, 노인보건연구방법론, 치의학과 구강보건, 고령화사회와 보건의료, 의학연구방법론, 한국 의료와 문화, 역학연구방법, 보건정책과 관리, New Frontiers in Aging and Public Health, 기후변화와 건강, 건강증진 |
건강노화의과학전공
학수구분 | 교과목명 |
---|---|
전공필수 | 보건학실습, 보건학특강, 의학과 전공 세미나 |
전공선택 | 건강노화의 최신지견, 노인의학, 노화역학, 노인영양, 고령화사회와 보건의료, 노인보건연구방법론, 의학통계학, 노인정신건강의학, 노화의 원리, 노화 및 역노화, 노화종양학, 노인질환영양관리, New Frontiers in Aging and Public Health, 의생명연구자료의 분석 및 활용, 의학데이터 처리 및 분석 프로그래밍 |
융합의생명전공
학수구분 | 교과목명 |
---|---|
공통핵심 (전공선택) |
융합의생명특강 I·II, 융합의생명세미나 I·II, 임상중개연구특강1-I·II, 임상중개연구특강2-I·II, 의생명연구입문, 의과학실험 기본기법2-I·II, 의학통계학, 생물정보학, 분자세포생물학, 의학연구방법론 I·II , 의학 데이터 처리 및 분석 프로그래밍 I·II 등 |
전공선택 | 공통세미나, 임상약리학, 근골격계외상학, 의학유전학입문, 유전상담학 및 상담심리학, 유전상담세미나, 임상신경과학, 암진단과 치료의 분자적 이해, 소화기질환의 병인학, 형태학연구방법론, 호르몬의 작용기전, 새롭게 출현한 신변종바이러스, 여행관련질환의 최신지견, 의생명데이터 패턴분석과 데이터마이닝, 관상동맥영상 및 생리, 장기이식학, 소생의학, 외상학, 임상유전학, 분자생물학실험방법, 신경면역학, Molecular and Cellular Physiology, 의생명 산업체 초빙세미나, 단백질 및 조직공학 등 약 48개 |